질문
이제 스무 살인 대학생입니다.
제가 의심되는 질환도 있고 여러 가지로 힘들어서 이제는 상담을 받아보고 싶은데요
병원은 어떻게 찾고 어떻게 문의해 봐야 할지 하나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말했다시피 갓 성인이라 어릴 때 들어놓은 실비보험이랑 암보험 말고는 해놓은 보험이 없는데
이거 때문에 큰 불이익이 있을까요?
아니면 나중에 보험 들 때 정신과 진료기록 때문에 불이익이 생길까요?
답변
# 계약 전 알릴 의무

고지의무에서 치료와 투약에 대한 질문지는 2가지입니다.
1) 최근 3개월 이내 치료, 투약이 있으면 고지(보험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2) 최근 5년 이내 계속하여 7일 이상 치료, 계속하여 30일 이상 투약 처방 시 고지(보험 가입 시점을 기준으로)
질문자님이 1회의 치료, 1회의 투약만 받았다면(30일이하여야 됨)
-> 3개월만 지나면 고지의무는 사라지게 됩니다.
->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질문자님의 보험 가입을 하려는 시점을 기준으로
가령 2022년 4월에 보험 가입을 하려고 함
2017년 4월 ~ 2022년 4월 사이에 정신과 치료를 7일 이상 받았거나, 30일 이상 투약처방을 받았다면 고지해야 됩니다.
(계속하여 : 치료 시작 ~ 치료 완치까지 걸린 치료 일수 합산, 처방받은 투약 일수 합산)
2017년 4월 ~ 2019년 4월까지 정신과 약을 처방받은 게 30일이 넘었고
2019년 4월 이후 더 이상 약을 처방받지 않았다고 가정을 하면
-> 2019년 4월부터 5년이 지나야 고지의무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 정신과는 고지하면 암보험 이외는 모두 가입 거절이므로 고지의무가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가입을 하시거나
-> 일반 고지를 하는 상품보다 보험료가 비싼 유병자 간편 보험으로 가입을 하셔야 됩니다.
-> 유병자 간편 보험은 치료와 투약에 대한 고지의무가 없습니다.(대신 보험료가 비싸고 가입할 수 있는 특약도 제한적)
1회의 치료나 30일 이하의 정신과 약 처방은
보험 가입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3개월만 지나면 되니까요.
어릴 때 들어놓은 실비보험이랑 암보험 말고는 해놓은 보험이 없는데 이거 때문에 큰 불이익이 있을까요?
-> 가입된 보험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아니면 나중에 보험 들 때 정신과 진료기록 때문에 불이익이 생길까요?
-> 향후 보험 가입 시 불이익이 생깁니다.
-> 고지의무에 해당이 될 경우, 암보험 이외는 가입이 불가하며 고지의무에 해당이 되지 않을 때까지 기다려야 됩니다.
'Q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자와 피보험자는 전데 보험금 자동이체 되는 계좌는 와이프 것입니다. 3개월 동안 보험료 이체 이력이 없어서 중도인출이 안되더라고요. 고객센터 가면 바로 출금되나요? (0) | 2022.04.11 |
---|---|
추나는 실비 처리가 된다고 알고 있는데 한약치료 비용이 만만치 않은데 한약 먹는 것도 가능한가요? 2012년에 생명보험사 실비보험 가입했습니다. (0) | 2022.04.10 |
통원치료를 받던 중 실비보험의 보험기간이 끝나면 어떻게 되나요? (0) | 2022.04.10 |
제로이드 36,000원 주고 샀는데 실비 청구하면 얼마 받죠? 몇 개까지 구매 가능한가요? (0) | 2022.04.09 |
수면 무호흡증 수술 비용도 국민건강보험에서 지원받을 수 있나요? (0) | 2022.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