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nA

어떠한 이유로든 간에 정신과 상담을 받은 이력이 있다면 보험에 가입할 때 저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나요? 보험사에서 꺼린다는 얘기를 들었거든요. 어떤 게 사실인가요?

by 지킴이s 2022. 3. 7.
반응형

┗▶ 스마트폰에서 위 사진을 터치하시면 오픈 카톡으로 연결됩니다.

 

 

 

질문

어떠한 이유로든 간에 정신과 상담을 받은 이력이 있다면 보험에 가입할 때 저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나요?

보험사에서 꺼린다는 얘기를 들었거든요.

어떤 게 사실인가요?

 

 

 

 

반응형

답변

# 계약 전 알릴 의무

1) 최근 3개월 이내 의료 행위(질병 확정 진단 / 질병 의심 소견 / 치료 / 입원 / 수술 / 투약)

2) 최근 1년 이내 추가 검사(재검사)

3) 최근 5년 이내 입원, 수술, 계속하여 7일 이상 치료, 계속하여 30일 이상 투약

(계속하여 치료의 시작 ~ 완료일까지)

정신과 상담을 받으면 해당하는 고지의무는

치료(상담)와 투약입니다.

치료의 경우

1) 5년 이내 7일 이하라면 : 마지막 치료를 받은 날로부터 3개월이 지나면 고지의무는 사라집니다.

2) 5년 이내 계속하여 7일 이상이라면 : 마지막 치료를 받은 날로부터 5년이 지나야 고지의무는 사라집니다.

-> 즉, 7일 이하의 치료(상담) 라면 상관없습니다.

투약의 경우

1) 5년 이내 30일 이하라면 : 마지막 약 복용 일로부터 3개월이 지나면 고지의무는 사라집니다.

2) 5년 이내 계속하여 30일 이상이라면 : 마지막 약 복용 일로부터 5년이 지나야 고지의무는 사라집니다.

-> 즉, 30일 이하의 투약이라면 상관없습니다.

만약 정신과 질환에 대한 고지의무가 발생했을 경우,

보험 가입을 위해 회사에 고지를 하면 암보험 이외는 모두 가입이 거절됩니다.

치료와 투약에 대한 고지의무가 없는 유병자 간편 보험은 가입이 가능하나

일반 고지를 하는 상품에 비해 보험료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응형